투자와 투기의 차이 ‘다름 이름의 같은 목표’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시장에 뛰어든 것이지, 투자와 투기를 구분하려고 시장에 뛰어든 것이 아니다.

투자와 투기의 차이 : 벤저민 그레이엄

투자의 대가 벤저민 그레이엄은 현명한 투자자라는 책에서 ‘투자는 철저한 분석을 통해서 원금의 안전과 충분한 수익을 약속받는 행위이다.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투기이다.‘라고 말했다. 우리 모두 투자하는 이유는 수익을 얻기 위해서이며, 증권 또는 부동산 등 투자하려는 자산을 철저히 분석하고 투자해야 한다.

단, 이해했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가 성공한다고 말하긴 어렵다. 측정할 수 없는 변수가 발생하기도 하고, 이해했다고 말한 본인에게도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이다.

장기 투자는 투자이고, 단기 투자는 투기이다?

‘장기 투자하면 투자이고, 단기 투자하면 투기이다.’라는 말에는 동감하지 못한다. 단기적으로 투자한 증권 또는 부동산의 적정 가치 대비 비싸게 거래될 수 있으며, 무조건 장기 투자한다고 해서 적정 가치 대비 높은 가격을 형성하는 것도 아니다.

투자한 증권 또는 부동산에 적정 가치를 이해하고 앞으로의 미래 현금 흐름을 유추했을 때 단기적으로 오른 자산을 매도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면 매도, 단기적으로 올랐지만 투자 자산 가치 대비 낮다면 보유하는 것이 투자라고 생각한다.

가치와 가격 : 마켓 타이밍

자본주의 시스템에선 가치와 가격의 괴리가 항시 존재하고, 투자자의 기대감은 변동성을 만든다. 변동성은 양날의 검이다. 적정 가치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매수했다면 변동성은 수익을 안겨 주지만, 가격의 움직임만 보고 자산의 이해 없이 매수했다면 변동성은 손실을 안겨줄 확률이 높다.

워렌 버핏은 마켓타이밍을 하지 않는다고 말해왔다. 이를 잘 못 이해하면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에 무작정 장기 투자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마켓타이밍을 하지 않는다’의 속뜻은 기업의 가치와 가격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뜻이다.

가치와 가격을 기준으로 했으므로 가치 대비 가격이 높은 대세 상승장에선 주식을 거의 매수하지 않고, 가치 대비 가격이 낮은 대세 하락장에선 주식을 많이 매수할 수밖에 없다.

투기는 무조건 손실을 보는가?

‘투기하면 무조건 돈을 잃는다.’라고 단정 짓긴 어렵다. 증권 시장 또는 부동산 시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투기를 통해 고수익을 얻는 투자자들이 상당히 많다.

투자와 투기는 관점만 다를 뿐 ‘돈을 벌기 위한 행위’라는 본질은 같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투자와 투기의 차이보단 나에겐 어떤 투자법이 적합한지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About the author
warehouse
우리가 투자하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함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