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담보대출 가이드 ‘장단점과 반대매매’

본 문에서는 주식담보대출 장단점 및 전반적인 개념이 기술되어 있다. 주식담보대출을 고려하고 있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해보길 추천한다.

주식담보대출이란 무엇인가?

주식담보대출은 소유한 주식 및 채권을 담보로 자금을 대출할 수 있는 금융 상품을 말한다. 담보대출임에도 대출 기간이 짧고 금기가 높다는 단점이 있지만, 즉시 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용 점수 영향도가 낮아 단기 트레이딩 투자자가 주로 사용하는 대출 상품이다.

장점

  1. 대출 승인 과정이 빠름
  2. 신용 점수 영향도가 매우 낮음
  3. 다른 대출 대비 한도가 높음
  4.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음

단점

  1. 담보대출임에도 불구하고 금리가 높음
  2. 주식 가격 하락 시 강제청산(반대매매) 당할 수 있음
  3. 담보대출임에도 불구하고 대출 기간이 짧음
  4. 일부 증권은 담보가 될 수 없음

조건과 담보

우량하고 시가총액이 높은 증권만 담보로 인정되며, 재무 상태가 불안정한 중·소형주는 담보로 활용하기 어렵다. 만약 본인의 포트폴리오가 중·소형주로 구성되어 있다면 한도가 높지 않거나, 대출이 아예 불가할 수 있다.

강제 청산(반대매매)

증권담보대출은 담보 비율(신용 비율)이 정해져 있다. 비율 미만으로 내려가면 추가로 자금을 납입이 요구되며, 납입하지 않은 경우 증권사에서 담보로 잡힌 주식 및 채권을 강제 청산(반대매매)하여 강제로 자금을 상환하게 할 수 있다.

반대매매에 대한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1,000만 원을 빌렸고, 담보 비율은 150%를 설정되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자금을 빌린 투자자는 주식 잔고(주식 + 현금)를 1,500만 원으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주식 가격이 하락하여 평가 예수금이 1,300만 원으로 떨어졌다면, 투자자는 200만 원을 추가로 납입하여 주식 잔고를 1,500만 원으로 맞춰야 한다. 맞추지 않을 경우 증권사는 투자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경고 후에도 추가 자급이 납입되지 않으면, 증권사는 담보로 잡힌 주식을 강제 청산하여 대출금을 상환한다. 이것이 반대매매다.

금리

평균 금리는 약 연 10%대다. 일반적으로 담보대출은 신용대출 대비 금리가 낮은 편인데, 주식담보대출은 제1금융권 신용대출 대비 금리가 높은 편이다. 다만 이러한 이유는 변동성이 높은 자산을 담보로 하기 때문이다.

  • 특정 기간(기준금리가 급격히 상승하는 구간)에선 간혹 주식담보대출이 일반적인 신용대출보다 금리가 낮은 경우도 더러 있다.

한도

평가 예수금(주식 + 현금)의 40-60% 정도 대출할 수 있으며, 최대한도는 약 10억 원 정도다.

  • 우량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면, 중·소형주 투자자보다 더 많은 한도로 대출할 수 있다.
  • 대출 한도가 다른 일반적인 대출 대비 높은 편이다.

기간

평균적으로 180일-270일 정도로 담보대출임에도 기간이 짧은 편이다. 연장이 가능하긴 하나, 상품 특성상 연장 시 위험성이 증대되므로 권장하지 않는다.

  • 초단기 트레이딩 투자자에 적합한 대출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차라리 일반적인 신용대출이나, 마이너스 통장이 더 적합하다.
  • 레버리지 투자는 ETF를 통해서도 할 수 있다.
About the author
warehouse
우리가 투자하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함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