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적금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장단점’

본 문서에는 제2금융권 적금 장단점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제2금융권 적금 가입을 고려고 하고 있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해보길 추천한다.

단점

상품 종류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 대비 상대적으로 상품 종류가 적다. ‘이것이 무슨 단점이 되느냐?’라고 반문할 수 있는데, 상품의 종류가 적다는 것은 연계할 수 없는 상품이 적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제1금융권의 경우 적금 가입 후 그 적금을 연계하여 대출받거나, 다른 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선택권이 존재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예·적금뿐만 아니라 채권, 펀드, 대출 등 다양한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제2금융권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만 제공하며, 선택 가짓수가 적다. 이 말인즉슨 본인에게 맞는 선택권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정성

안정성 측면에선 업체에 따라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권사, 우체국은 제1금융권에 준할 정도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그밖에 캐피탈, 보험사, 저축은행 등은 안정성이 비교적 떨어진다.

안정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자금조달 능력 때문이다. 금리 상승을 예로 보자. 금리 상승은 화폐의 유통량을 줄이고, 돈의 가치를 올리는 행위를 말한다. 은행들은 기준 금리에 맞춰 예금, 적금, 대출, 채권 금리를 조정하고, 채권과 예금의 매력도가 상승한다. 기업들은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자금 조달 비용이 커지므로 신규 투자를 줄이게 되고, 대출 금리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한다.

이것이 지속화되면 경기 둔화 또는 침체가 온다. 대중은 위험 자산인 주식 또는 부동산보단 예·적금 또는 채권을 더 찾게 되고, 재무 구조가 약한 제2금융권보단 제1금융권의 상품들은 더 선호하게 된다. 그래서 제2금융권은 시중금리보다 예·적금 또는 채권 금리를 높여서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데, 예·적금과 채권은 은행 입장에선 부채다.

조달받은 자금을 잘 활용하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경기 둔화 또는 침체기에는 파산하는 부 기업들이 나오고, 건실한 기업들의 신규 대출 수요가 줄어들면서 잘 활용하기 어렵다. 이렇게 악순환이 반복되고 은행 재무 구조가 약해질수록 고객들은 급하게 돈을 은행부터 인출하고, 은행은 파산으로 이어진다.

파산해도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최대 5,000만 원까지 보상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추가 답변도 기술하도록 하겠다. 예금자보호법은 국가가 보증하는 것이며, 예금자보호법에 적용된 예·적금 상품 가입자는 최대 5,000만 원까지 보장된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으로 지급해 주는 것이 아니며, 상당히 긴 기간 동안 분할 지급된다. 즉, 5,000만 원까지 보장되는 것은 맞지만 장기간 자금이 묶인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접근성

제2금융권 적금 상품에는 다양한 우대금리 조건이 붙는다. 예를 들어 제2금융권 적금 상품의 표면 금리가 7%인 것을 보고 상품 페이지에 들어갔더니, 1-3가지 이상의 우대 조건에 부합해야 7% 금리가 적용되는 것처럼 말이다.

  • 제2금융권 입장에선 자금조달과 신규고객 유치를 위함이겠지만, 이것이 오히려 접근성을 떨어지게 만들어 신규고객 유치가 더욱더 어려워질 수 있어 보인다.
  • 오늘날 금융 서비스는 대부분 온라인에서 이뤄지므로 오프라인 영업점이 적다는 것은 큰 단점으로 보이진 않는다. 다만 금융 상품을 이용하는 데 있어 여전히 오프라인 영업점을 방문했을 때 얻는 이점이 있다는 점만 유의하길 바란다.

장점

제2금융권 적금의 장점은 높은 금리다. 단 한 가지 장점만 존재하는데, 이 한 가지 장점이 모든 단점을 잠재울 만큼 강력하다. 예·적금 금리는 수익률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적금 이자로만 자산을 운용하는 개인 입장에선 높은 금리가 최우선이다.

  • 투자자 입장에서도 제2금융권이 파산되지 않을 것 같다고 예상한다면, 제1금융권 채권보다 제2금융권 채권을 매입하는 것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 신규고객 유치를 위해 특판 예금, 특판 적금과 같은 상품을 만들곤 하는데, 이는 시중 금리 대비 약 2-3% 더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 참고 문헌 : 적금이란? ‘안정성과 수익성의 딜레마’
About the author
warehouse
우리가 투자하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함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