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립식 투자는 겉보기엔 쉬워 보이지만, 인간의 심리를 거스르는 투자 방법이다. 투자 대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본인이 심리적으로 안정되었을 때 비로소 진정한 적립식 투자를 할 수 있다.
적립식 투자를 왜 하는가?
적립식 투자는 일정한 기간에 일정한 금액을 투자하는 행위를 말한다. 적립식 투자의 핵심은 일정한 기간과 일정한 금액에 있다. 일정한 기간에 일정한 금액으로 투자하면 자연스럽게 주가가 높을 때는 적게 매수하게 되고, 주가가 낮을 때는 많이 매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균 매수 가격이 중앙선에 맞춰지고 주가 변동성을 상쇄할 수 있다.
마켓 타이밍을 하는 것보다 적립식 투자가 쉬운 것은 팩트다. 그러나 초심자 기준에서 아니 인간의 기준에서 적립식 투자가 쉽다고 보긴 어렵다. 일반적으로 초심자는 주가가 상승하면 더 많이 매수하는 경향을 보이고, 반대로 주가가 하락하면 더 적게 매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적립식 투자의 핵심과 정반대되는 투자 방법이다.
처음 적립식 투자를 하겠다고 마음을 먹은 초심자들은 앞서 말한 예시를 보고 웃을 것이다. 그런데 3년 이상 아니, 3달만 넘어가도 100의 90은 다 저런 식으로 하고 있다. 처음부터 마인드 컨트롤할 수 있는 초심자는 흔하지 않다. (경력이 긴 투자자도 마인드 컨트롤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장점은 무엇인가?
적립식 투자의 최대 장점은 주가의 변동성을 상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단기간에 걸친 주가 변동성은 사람의 심리가 강하게 반영되므로 쉽게 알아차릴 수 없다. 조울증과 같은 주가 변동성을 일정 상쇄시킬 수 있다는 것은 주식 시장에서 큰 장점의 하나이며, 위대한 투자자들도 이러한 장점 때문에 적립식 투자를 이행한다.
- 적립식 투자를 하는 대표적인 투자자의 한 명은 워렌 버핏이다.
- 워렌 버핏은 매수할 때도 적립식으로 매수하고, 매도할 때도 적립식으로 매도한다.
- 자금이 커지면 자연스럽게 적립식 매수, 적립식 매도를 할 수밖에 없다.
단점은 무엇인가?
생각 없이 적립식 투자하는 것만큼 위험한 것도 없다. 적립식 투자는 변동성을 일정 상쇄시켜 줄 뿐 최고의 투자 방법이 아니다. 성장하지 못하여 지속해서 하락하는 기업에 적립식 투자를 하면 천천히 돈을 버리는 행위와 다를 것이 없다. 적립식 투자가 길어질수록 자본금이 쌓이게 되는데, 백분율로 움직이는 주식 시장 특성상 자본 손실률이 더 커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적립식 투자를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적립식 투자는 마켓 타이밍과 적절하게 섞여 사용할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처럼 투자하는 대표적인 투자자가 워렌 버핏이다. 다수의 사람은 워렌 버핏은 마켓 타이밍을 안 한다고 생각하는데, 지난 워렌 버핏의 투자 역사를 보면 그렇게 말할 수 없다. (정확하게 말하면 가격 타이밍이다.)
마켓 타이밍은 기업의 가치를 아는 것에서 시작한다. 얼마의 가격을 지불해야 안전마진을 지키는지 알려면, 그 기업의 내재가치를 알고 있어야 하며, 기업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내재가치를 구할 수 있다. 그런데 단기적 주가 변동성은 알기 어렵다.(인간 심리의 변화는 쉽게 알기 어려운 것과 같은 맥락.) 다시 말해 안전마진을 지킨 가격이라고 할지라도 그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럴 때 적립식 투자 방법을 섞어주면 주가 변동성을 상쇄함과 동시에 좋은 가격으로 투자할 수 있다.
단편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좀 더 면밀히 살펴보자. A는 B 기업의 가치가 1억 원이라고 판단했다. 그런데 B 기업의 이슈가 발생하여 시가총액이 2억 원에서 5,000만 원으로 떨어졌다. A는 B라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파악했기에 투자하려고 했지만, 상황을 보니 B 기업의 주가가 더 내려갈 것 같았다. 그래서 A는 5,000만 원 아래에서 6개월에 걸쳐 매수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투자했다. A의 생각대로 B 기업은 5,000만 원에서 3,000만 원까지 하락했고, 그다음 연도에 악재가 해소되면서 1억 원으로 크게 상승하였다.
위 예시에서 A가 단순하게 B 기업에 투자했다면 100%의 수익률을 얻었을 것이다. 그러나 단기간의 주가 방향성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5,000만 원 아래의 안전마진을 지킨 가격에서 분할 매수했고, 이를 통해 주가 변동성을 상쇄시켰다. 이에 따라 수익률은 100%를 넘겨 150%로 상승했다.
여기서 핵심은 단기 주가 방향성을 적립식 투자로 상쇄했음과 동시에 가치를 알았다는 것에 있다. 기업의 가치를 알았기 때문에 전략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이고, 신중하게 생각했기에 적립식 투자를 할 수 있던 것이다. 즉, 효과적인 적립식 투자를 위해선 기업과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